다자녀 가정을 위한 다양한 혜택이 2025년에 확대됩니다. 출산부터 교육, 세금 감면까지 다방면의 지원을 통해 가계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해당되는 혜택을 놓치지 말고 신청해보세요.
[목차여기]
출산 및 양육 지원
다자녀 가정을 위한 출산 및 양육 지원이 강화되었습니다. 첫째 아이에게는 200만 원, 둘째 아이부터는 300만 원의 첫만남 이용권이 제공됩니다. 또한, 산후조리도우미 서비스는 최대 4명까지 지원되며, 기간도 최장 40일로 확대되었습니다. 아이돌봄서비스도 다자녀 가구를 우선 대상으로 하여 맞벌이 가정의 육아 부담을 덜어줍니다.
교육 지원
대학생을 위한 국가장학금 지원이 확대되어, 소득 구간에 따라 최대 57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3자녀 이상 가구의 셋째 아이부터는 연간 200만 원의 추가 지원이 제공됩니다.
세금 혜택
다자녀 가구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자녀 수에 따라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녀 1명당 연 15만 원, 2명은 35만 원, 3명 이상은 추가로 1명당 30만 원씩 공제됩니다. 또한, 출산이나 입양 시 첫째는 30만 원, 둘째는 50만 원, 셋째 이상은 70만 원의 추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취득세 감면
18세 미만 자녀를 3명 이상 양육하는 가구는 2027년 12월 31일까지 자동차를 취득할 경우 1대에 한해 취득세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차량 종류에 따라 감면 한도가 다르며, 7인승 미만 승용차는 최대 140만 원까지 면제됩니다.
공공요금 및 교통비 할인
다자녀 가구는 월 전기요금의 30%를 최대 1만 6,000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으며, 도시가스 요금도 동절기에는 월 1만 8,000원, 그 외 기간에는 월 2,470원의 할인이 적용됩니다. 또한, 대중교통 이용 시 K-패스를 통해 2자녀 가구는 30%, 3자녀 가구는 50%의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 지원
다자녀 가구를 위한 주택 특별공급 제도가 시행되어, 공공분양주택 청약 시 자녀 수에 따라 가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세자금 대출 시에도 우대금리를 적용받아 주거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다자녀 가구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적극 활용하여 가계 부담을 줄이고, 풍요로운 가정을 꾸려보세요.
함께보면 좋은 글
서울 조부모 돌봄수당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맞벌이 부부들이 아이를 낳아서 키우기는 쉽지 않은데요. 부모님이 가까이 계셔서 아이 양육을 도와줄 수 있는 조건만 되도 큰 힘이 됩니다. 요즘에는 그 보답으로 부모님께 용돈을 드리는 경우
challenging.kr
2024 다자녀 혜택 원스톱 신청방법
올해부터 다자녀 가구 기준이 3자녀에서 2자녀로 바뀌면서 2024 다자녀 혜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다자녀 가구는 어떤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고
challenging.kr
서울시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조건 신청방법
서울시 저출산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높은 주거비용이 거론되고 있는데요. 이에 서울시에서는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가구에게 월 30만원씩 최대 2년간 주거비를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한다는 소
challenging.kr